세상을 이롭게

Git 사용해보기 02.clone하고 Push 해보기(feat.github) 본문

Git

Git 사용해보기 02.clone하고 Push 해보기(feat.github)

2022. 7. 20. 22:31

필자는 github를 사용한다.
여러번 해보았지만, 처음부터 remote repository 에 작업 공간을 만들어 놓고, git clone 하여 사용하는 것이 제일 편한 방법인것 같다. 이번에도 문서를 참고 하며 진행해본다.

https://git-scm.com/book/ko/v2/Git%EC%9D%98-%EA%B8%B0%EC%B4%88-%EB%A6%AC%EB%AA%A8%ED%8A%B8-%EC%A0%80%EC%9E%A5%EC%86%8C

 

Git - 리모트 저장소

원격 저장소라 하더라도 로컬 시스템에 위치할 수도 있다. “remote” 저장소라고 이름이 붙어있어도 이 원격 저장소가 사실 같은 로컬 시스템에 존재할 수도 있다. 여기서 “remote” 라는 이름은

git-scm.com

 

먼저 remote repository를 만들기 위해 github에 Sign In 한다.

Sign in 이후 좌측 상단에 + 버튼이 있다.
원하는 주소와 내용을 선택한후 Create repository를 한다.
Code - Clone - 주소 옆 복사하기를 누른다.
원하는 경로에 가서 git clone [주소] 을 해준다.

 

 

처음이면 sign in 하라는 창이 뜬다!!!

localhost 주소가 나왔다가 뭔가 안되어 그냥 껐더니 사라졌다.

sign in 창은 꺼졌지만 clone은 완료되었다.

 

테스트로 readme 파일을 수정하고 커밋하여 remote repository에 올려보도록 하겠다.

README.md 를 수정하고 테스트로 올려보려하였다. 하지만 위와 같이 경고가 떴다.

이유는 간단했다. 필자가 배웠을 때는 master가 기본 브런치였으나, 주종관계를 나타내는 단어의 영향인지
main 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이였다.

git push -u origin main 으로 했더니 잘 올라간다.

add 끝.